본문 바로가기
WorldAffairs

중국의 서해공정_해양 구조물 설치로 서해를 삼키려는 중국의 야욕…친중정권 들어서면 바다는 사라진다

by Marquis.JIN 2025. 4. 23.
반응형

서해의 경계가 무너진다면... 중국 해양 구조물 설치와 국가안보의 경고등

서해는 단지 파도만 이는 바다가 아니다. 그 물결 아래에는 치밀한 전략이 숨어 있고,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의 안보를 위협하는 변종 전초기지가 조용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중국이 서해 한중 잠정조치 수역에 고정형 해양 구조물을 세우기 시작한 것이 그 출발이다.

 

중국측 구조물, SBS뉴스 캡처

 

2022년 3월, 중국 산둥 해양그룹은 ‘애틀란틱 암스테르담호’라는 고정형 석유 시추선을 개조하여, 어업 이외의 활동이 금지된 서해 한중 잠정수역에 대형 구조물을 설치했다.

 

겉으로는 ‘양식장 관리용’이라 주장하고 있으나, 헬기 착륙장이 마련되어 있고 최대 1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대형 플랫폼이라는 점에서 명백히 군사적 활용 가능성을 내포한 설계다. 더구나 이 구조물은 바다 위에 떠 있는 것이 아니라 바다 밑에 고정돼 있어, 해당 해역을 실질적으로 점유하려는 의도가 짙다.

 

중국은 여기서 멈추지 않았다. 고정형 구조물 주변에는 감시탑 형태의 반잠수형 시설인 ‘설란 1호기’와 ‘2호기’를 추가로 배치했고, 이 일대를 ‘국가 해양식 시범구’로 지정하였다. 이는 국제사회의 시선을 피하면서도, 특정 해역에 대해 실질적 통제권을 확보하려는 명백한 전략이다.

 

중국, 남중국해의 인공섬 확대 군사기지화, SBS뉴스 캡처

 

실제로 중국은 남중국해에서도 2014년부터 ‘등대’와 ‘어업 기지’로 위장된 인공섬을 건축, 군사 요새로 전환해왔으며, 이후 그 바다를 자국 영해로 주장함으로써 남중국해 인근 국가들과 영유권 분쟁을 벌여오고 있다. 지금 서해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은 그 동일한 전략의 복사판이다.

 

한국 정부는 구조물 설치 초기부터 이에 대한 중단을 요구해왔지만, 중국은 오히려 더 많은 구조물 설치 계획을 밝혔고, 2025년 안에 유사한 구조물 10기를 더 세우겠다고 예고한 상황이다. 이것은 동북공정, 일대일로에 이은 명백한 '서해공정'이다.

 

정부는 이에 대응해 비례적 구조물 설치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중국의 기정사실화를 견제하려 하고 있다. 외교는 상호주의를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중국의 일방적 행보에는 그에 상응하는 실질적 대응이 반드시 필요하다. 

 

중국공산당 세계정당 정상회담에 내 걸린 더물어민주당기, 출처 유튜브 채널 BreakingNow

 

그러나 이 모든 위협보다 더 위험한 것은 중국에 무조건 "셰셰"하자는 ‘친중 정권’이 들어설 경우의 상황이다. 국내 정치가 중국에 우호적인 방향으로 기울게 되면, 지금처럼 벌어지고 있는 해양 영토의 침식이 공론화되지 못한 채 조용히 묵인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예산을 배정하지 않으면 우리는 비례적 구조물을 설치하지 못하게 된다.

 

이는 중국측 구조물의 고착화를 의미하며, 결국 서해의 일부 해역이 중국의 통제 아래 들어가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그 순간부터 우리는 서해를 자유롭게 감시하지 못하고, 해군의 작전과 훈련에 제한을 받으며, 해양 주권을 상실하게 되는 것이다.

 

중국은 매우 천천히, 그러나 치밀하게 움직인다. 거센 외교 갈등을 피하면서도, 정해지지 않은 해역에 발을 디디고, 구조물을 세우며, 그것을 자신들의 ‘영해’라 주장하는 시나리오를 매번 성공적으로 반복해왔다.

 

이제 우리는 더 이상 남의 바다 이야기를 구경하듯 해서는 안 된다. 서해는 우리의 문제이며, 이대로 방관할 경우 머지않아 ‘우리의 바다’가 아니라 ‘중국의 바다’가 되어버린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국방은 준비된 나라만이 누릴 수 있는 평화다. 정부는 지금처럼 말뿐인 경고를 넘어, 실질적 대응에 나서야 하며, 국민 은 이 문제의 본질을 직시해야 한다.

 

친중정권의 탄생은 단순한 외교 정책의 변화가 아니라, 대한민국 해양 안보의 붕괴를 의미할 수 있다. 우리는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하며, 서해의 바람이 자유롭게 불 수 있도록 끝까지 지켜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