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이스 헤럴드 / 진종구 칼럼니스트

나이가 들수록 돈의 액수보다 더 중요한 것은 돈의 ‘흐름’이다. 은행 통장에 1억 원이 있어도 매달 들어오는 수입이 없다면 마음은 늘 불안하다. 노후의 안정은 얼마나 모았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흘러가게 만드느냐에 달려 있다는 사실이다.
첫째, 월 지급식 예금은 은퇴자의 새로운 월급이다. 일반 예금처럼 만기 때 일시 수령하는 대신, 이자를 매달 나누어 받는 방식이다. 4천만 원을 연 4% 금리로 예치하면 한 달에 약 12만 원이 통장에 들어온다. 원금은 그대로 두고 이자만 생활비로 쓰면 된다. 적은 금액이라도 ‘매달 들어오는 돈’이 있다는 사실이 마음의 여유를 만든다.
둘째, 비과세 종합저축 제도는 65세 이상이라면 반드시 챙겨야 할 혜택이다. 이자소득세 약 14%를 면제받을 수 있고, 1억 원까지 적용된다. 다만 자동으로 처리되지 않기 때문에 은행 창구에서 “비과세 종합저축 가입 가능한가요?”라고 직접 요청해야 한다. 이 한 문장으로 1년에 20만 원 넘는 세금을 절약할 수 있다.
셋째, 예금자 보호제도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2025년부터 보호 한도가 1억 원으로 높아져, 한 은행이 부도가 나더라도 1억 원까지는 국가가 책임진다. 따라서 1억 원 이상 예치할 때는 A은행과 B은행 등으로 분산하는 것이 안전하다. 단순한 분산이지만, 위기 상황에서 자산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결국 노후 재무 관리의 본질은 돈을 ‘키우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흐르게 하는 것이다. 월 지급식 예금으로 생활비를 마련하고, 비과세로 세금을 막으며, 예금자 보호로 원금을 안전하게 지킨다면 복잡한 투자 없이도 안정된 현금 흐름이 만들어진다. 노후의 평안은 금리가 아니라, 매달 통장에 찍히는 숫자가 주는 신뢰에서 시작된다.
'Life, Health & Common Sen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커피, 심방세동 위험 낮춘다”…오해 속에서 밝혀진 따뜻한 진실 (0) | 2025.11.11 |
|---|---|
| 저축은행보다 일반은행이 금리가 더 높다...저축은행에서 일반은행으로 돈이 이동하는 '역머니 무브' 가속 (1) | 2025.11.11 |
| ‘애인대행’의 부활, 불황이 낳은 외로움의 시장화 (0) | 2025.11.08 |
| 공감이라는 이름으로 말을 끊는 사람들 (0) | 2025.11.06 |
| 가을 햇살 아래 펼쳐진 '행복의 식탁', 조용히 전해지는 따스한 미담 (0) | 2025.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