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이스 헤럴드 / 진종구 칼럼니스트

X(옛 트위터)의 국적 표기 기능이 도입되면서 그동안 막연한 의심 수준에 머물렀던 중국계 계정들의 정체가 실제 데이터로 드러나기 시작했다.
한국 정치 이슈에 과도하게 개입하던 계정들 중 다수가 중국에서 접속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한국인처럼 글을 쓰며 특정 정당을 일방적으로 지지하거나 상대 정파를 비난하던 패턴이 뚜렷하게 확인되면서 논란은 단순한 온라인 해프닝을 넘어 국가 안보 문제로 번지고 있다.
예를 들어 2019년 개설된 한 계정은 7년간 하루 평균 26개의 게시물을 올리며 무려 6만 5천 개 이상의 글을 작성했는데, 이런 활동량은 개인의 자유시간이나 취미로 설명할 수 없는 수준이며 직업적 운영을 의심하게 만들기에 충분하다.
더 주목할 점은 이 계정들이 처음엔 중국으로 표시되다가 국적 표기가 공개되자 일제히 ‘동아시아’로 접속지를 바꾸기 시작한 현상이다. 숨길 필요가 없는 개인 사용자가 접속 국가를 바꿀 이유가 없다는 점에서, 이는 사실을 감추려는 의도적 움직임으로 볼 수밖에 없다.
문제는 이러한 계정들이 한국 정치 지형 속에서 매우 교묘하게 움직였다는 점이다. 이들은 한국어 문장을 자연스럽게 구사하며 특정 정당을 적극 옹호하고 반대 세력은 조직적으로 공격해왔다.
이 과정에서 마치 “한국 내부 여론이 실제로 그렇게 움직이고 있다”는 착시가 만들어지며 국민의 판단 과정에 왜곡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 중국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펼쳐온 온라인 정보전의 양상을 고려할 때, 한국이 예외일 것이라는 전제 자체가 이미 순진한 접근일지도 모른다.
최근 미국과 유럽에서도 유사한 사례가 반복적으로 적발되고 있다는 사실을 보면, 글로벌 차원의 체계적 활동일 가능성도 충분하다.
중국 댓글부대가 왜 한국인인 척하며 정치적 메시지를 뿌리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분석이 가능하다. 한국 내부 갈등을 심화시키면 민주주의의 신뢰가 약해지고, 특정 세력이 정책적 주도권을 잡는 데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한국 여론을 중국의 국익에 유리한 방향으로 조정하는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일 것이다.
중국 정보기관이 온라인 공간을 전장으로 규정해 여론 조작을 전략적으로 활용해왔다는 점을 떠올리면, 이런 움직임은 단순한 개인 활동이 아니라 조직화된 정보전의 일부이며, 타국의 선거에 개입한 증거일 수 있다.
결국 우리가 직면한 핵심 질문은 단순하다. 한국인인 척하는 이 활동은 무엇을 노리고 있었는가, 이들의 조직적 배후는 누구인가, 그리고 이러한 여론 조작이 실제로 한국 사회의 정치적 판단에 영향을 미쳤는가 하는 점이다.
X의 국적 표기에서 드러난 증거는 빙산의 일각일 가능성이 크며, 한국의 포털 댓글과 SNS가 지금 이 순간에도 외부 세력의 침투에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우리는 이 문제를 더 이상 가볍게 넘길 수 없다.
지금 필요한 것은 방관이 아니라 철저한 조사와 제도적 대응이며, 한국 여론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국가적 감시체계 강화다. 외부 세력의 영향력이 보이지 않게 우리 사회에 스며드는 상황에서, 한국은 더 이상 무방비 상태로 남아 있어서는 안 된다.
'Natioal 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미국이 대신 말해주는 나라, 중국의 서해 불법 구조물에 스스로 침묵하는 나라 (0) | 2025.11.21 |
|---|---|
| 정체 모호한 공직자는 국가의 최대 위험…필리핀 시장으로 위장한 중국 간첩 사건이 던진 경고 (1) | 2025.11.21 |
| 정보전의 시대, 일본은 국가정보국(미국판 CIA)을 세우는데 우리는 역주행 중 (0) | 2025.11.19 |
| 간첩법 개정 계기, 외국인 간첩 수사권은 국정원에 돌려줘야 한다 (0) | 2025.11.07 |
| 곽종근 3대 거짓말 위증죄? ... 그와 그 누군가 내란 프레임으로 조작했을 가능성도 (0) | 2025.11.06 |